카테고리 없음

아티클 스터디 - 사용자 인터뷰로 숨은 니즈 발견하기

박하(Mint) 2024. 10. 11. 23:23

스터디 진행일 : 24-10-11

아래 아티클을 읽고 간단하게 요약해보았으며, 팀원들과 인사이트를 주고받았다.

 

https://brunch.co.kr/@maju/42

 

사용자 인터뷰로 숨은 니즈 발견하기

사용자 인터뷰를 계획하고, 실행하고, 분석하기 | 최근 논문 작성과 수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덕분에 인터뷰를 진행해야 하는 경험을 여러 차례 갖게 되었다. 생각해 보면, 대학원 진학 전에

brunch.co.kr

 

◼︎ 주제

  • UIUX 디자인 과정에서 인터뷰의 중요성과 그 진행 과정

 

◼︎ 아티클 요약

Ⅰ. 인터뷰를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 프로덕트를 디자인하기 위해 가장 먼저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문제점을 찾는 Discover 과정이 필요함.
  • 이 과정에서 Desk Research, Field Research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 심층 인터뷰는 그 중에서도 사용자와 직접 소통하며 사용자의 숨은 니즈를 발굴하고 인사이트를 발견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Ⅱ. 인터뷰 진행 과정

  1. 인터뷰 전 (계획단계)
    1. 대상 선정 : 서비스 타겟층을 고려해 적절한 대상 선정
    2. 리서치 방법 정의 : 설문조사 등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지만 심층 인터뷰가 가장 효과적임
    3. 리서치 내용 설계 : 인터뷰 가이드(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질문 우선순위를 파악
    4. 리크루팅 일정 및 계획 : 각 세그먼트 별로 5명 이상씩 선정. 지인이나 커뮤니티를 활용
  2. 인터뷰 중 (실행단계)
    1. 라포 형성하기 : 처음 5~10분은 신뢰 관계를 쌓는데 할애 → 진솔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음
    2. 인터뷰에는 정답이 없다 : 인터뷰 대상자가 느끼는 부담감을 완화해주어야 한다
    3. 인터뷰 답변을 받아 적지 말자 : 인터뷰 중에는 대화에 집중하고, 녹음 등의 수단을 활용
    4. 5 whys 질문 :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에 대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질문하는게 좋음
    5. 질문에 중요도 부여 : 질문 중요도를 상,중,하로 나누어서 시간관리
  3. 인터뷰 후 (분석단계)
    1. key findings : 인터뷰를 통해 얻은 데이터 중 의미있는 발견만 간추림 → 문제를 자각하고 니즈를 파악
    2. UX Modeling : 문제를 분류하고 유형화하여 어떤 문제에 집중할지 고민
    3. Insights : 앞선 과정을 토대로 앞으로의 아이디어와 전략 방향성 설정

 

◼︎ 인사이트

문제 발견과 문제 정의의 중요성

  • 모든 UX 디자인은 어떤 문제가 있는지, 이것이 진짜 문제인지 등을 명확하게 정리하는 과정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느낌. 요즘 대기업에서는 이를 위해 따로 UX 리서처라는 직군을 신설할 정도로 이 과정에 대한 중요도가 굉장히 높아진 것 같다. 이 과정이 선행되지 않으면 그 뒤의 화면 설계나 디자인 과정은 어떠한 근거도 얻지 못한다.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

  • 데스크리서치는 편하지만 납작하고, 심층 인터뷰는 귀찮고 힘들지만 진솔하고 깊은 인사이트를 이끌어낼 수 있다.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는 말처럼, 내 몸이 고생해야 더 나은 사용성을 위해 나아갈 수 있는 것 같다.

 

◼︎ 팀원들과의 인사이트 공유

[공통 인사이트]

데스크 리서치에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막연하게 인지하고 있던 심층 인터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됐다. 인터뷰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솔직한 니즈를 파악하고, 이후 디자인 과정에서 반드시 이를 토대로 명확한 방향성과 근거가 있는 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다.

 

[의미 있었던 의견]

  •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이 왜 언급 되었는지조차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비즈니스 이해관계자들과 팀원들을 설득시키기 위한 시각화 도구로써 유용하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 막연하게 존재하던 지식들과 인사이트들을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화 도식을 얻은 것 같다. 틀에 박힌 사고방식은 위험하지만, 시작단계에서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파악하는데에는 구조화가 유리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