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직무 JD 분석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비슷한 일을 하는 다른 직무의 JD(Job Description)분석을 통해 각 직무별 차이점을 이해하고 내가 집중적으로 키워야 할 역량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았다.
Ⅰ. 비슷한 직무 JD(Job Description) 리스트
개인적으로 웹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등은 경험해보았고, 웹퍼블리셔, 인터랙션 디자이너 등이 하는 일은 꽤 명확하게 알고있다는 생각이 들어,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주로 협업 관계를 맺게 되는 'UX리서처', '프론트엔드 개발자', 'PM/PO'에 대한 JD(Job Description)을 리스트업 해보았다.
[UX Researcher]
◼︎ 토스 - UX Researcher
직무 소개 |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 UX Researcher는 사용자의 목소리가 필요한 모든 팀과 협업하고 있어요. 주로 제품팀과 밀접하게 협업하며, 리서치를 의뢰받는 구조로만 일하지 않고 서비스에서 문제의식을 느낀다면 먼저 제안도 해요. • 제품에 필요한 리서치에 집중하여 제품에 큰 임팩트를 가져다줄 수 있는 인사이트를 발굴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어요. 단순 보고나 공유를 목적으로 하거나 그것으로 끝나는 리서치는 더 이상 경험하지 않으셔도 돼요. |
• 제품의 문제를 발굴해서 메이커들이 놓칠 수 있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전달해요. • 사용자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제품이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개선 지점을 발굴해요. • 다양한 제품만큼이나 다양한 금융 맥락의 리서치를 경험하며 그 안에서 리서치의 처음과 끝을 주도해요. • 사용성 테스트 (UT: Usability Testing),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집단 심층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설문조사 등 제품의 적절한 리서치 방법론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조사해요. • 제품을 지원하는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닌, 더 좋은 방향으로 서비스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어요. |
• 실무 프로젝트에서 UX 리서치를 진행한 경험은 필수예요. • 다양한 상황에 맞는 최적의 리서치 방법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리서치 결과를 팀에 효과적으로 전달해 제품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분이 필요해요. • 제품 개선을 위해 사일로·팀과 원활하게 협업하며, 설득을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필요해요. • 디지털 프로덕트(웹·앱 등)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한 경험이 있거나, 디지털 프로덕트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경험이 있다면 좋아요. |
◼︎ 여기어때 - Quantitative UX Researcher
직무 소개 |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우대사항 |
• 프로덕트 조직인 'CX Lab'의 UX Researcher는 초기 서비스 및 UX 전략 수립을 위한 리서치를 설계합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을 통해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여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기여합니다. • 제품의 UX 이슈를 주도적으로 발굴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프로덕트 팀에 제시하고 함께 해결함으로써 프로덕트 발전에 기여합니다. • 사용자 중심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고객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 |
•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행동 패턴과 구매 패턴을 파악하고, UX 개선 및 비즈니스 전략을 위한 인사이트 도출 •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을 통해 고객 Pain Point를 분석하여 프로덕트 팀에 UX 우선순위와 솔루션 제시 • 새로운 고객 경험을 만들기 위한 고객 및 마켓 리서치 수행 • 효율적인 리소스 운영과 리서치 설계 방안 리딩 • 여러 조직에 고객 중심의 문화를 전파하기 위한 방안 제시 |
• SQL, Python, R 등 통계 분석용 소프트웨어 활용 경험이 있으신 분 •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시각화하여 간단명료하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신 분 • 마켓 리서치나 사용자 리서치를 설계하고 실행한 경험이 있으신 분 • 문제에 Deep Dive하여 이슈를 도출하고, 여러 데이터를 통해 논리적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신 분 • 독립적으로 리서치 주제를 정의하고 일정 관리, 실험 설계, 진행, 결과 분석이 가능하신 분 |
• OTA, eCommerce 프로젝트 경험이 있으신 분 • 로그 데이터, 매출 데이터에 기반한 리서치 경험이 있으신 분 • 정량/정성 리서치 경험이 있으며 결과를 적절한 Tool로 직접 분석이 가능하신 분 • UX 리서치(UX Strategy, User Research, Usability Testing, Research Analysis, Trend Research) 또는 마켓/소비자 리서치 관련 전공 또는 이에 준하는 경력이 7년 이상이신 분 • 리서치 조직을 리딩한 경험이 있으신 분 |
주요 업무 :
- 새로운 고객 경험을 만들고 제품의 문제를 발굴하기 위한 고객 및 마켓 리서치 수행
-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설문조사 등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을 통해 사용자 경험 조사
- 다양한 리서치의 설계 방안 주도
공통 역량 :
- 마켓 리서치나 사용자 리서치를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실험한 경험
- 문젱 ㅔ맞는 최적의 리서치 방법을 선택하고, 여러 데이터를 통해 논리적인 인사이트 도출 능력
-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시각화하여 팀을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
[프론트엔드 개발자]
◼︎ 토스 - Frontend Platform Engineer
직무 소개 |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 토스의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일하는 플랫폼을 탄탄하게 만들어요. 사내에서 Vercel이나 Expo와 같이 WebView와 React Native 서비스를 관리하는 도구들을 만들고 있어요. • 토스 사용자들이 물 흐르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로딩 시간을 감축하고, 오류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개발환경을 만들어요. • 토스에서는 하루에 40회 이상의 라이브 배포가 진행되고, 수백 개의 A/B 테스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데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생산성 높게 제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와 개발환경을 설계해요. |
• WebView 기반의 서비스들을 개발하는 사내 Framework를 개발해요. Framework에서 제시하는 Best Practice를 따르면 최고의 사용자 경험과 개발자 경험이 따라오는 것이 목표예요. 오픈소스를 목표로 해요. • React Native Framework를 개발해요. MSA 구조의 React Native 개발환경을 바닥부터 설계하면서, 큰 규모의 회사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견고하고 생산성 높은 Framework을 만들어요. 마찬가지로 오픈소스를 목표로 해요. • 수백 대의 SSR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오류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요. • AWS 및 Cloudflare와 같은 Cloud 서비스를 주도적으로 운영하면서 비용을 감축해요. |
• 생산성을 개선하고, 서비스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에 재미를 느끼시는 분과 함께하고 싶어요. • 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이 동작하는 내부 구조와 원리에 대해서 궁금하고 배우고 싶은 분을 찾고 있어요. • 문제를 예민하게 감지하고, 본질에 대해서 깊이 있게 이해하고, 적합한 기술적 해결책을 생각해내는 과정에 익숙하신 분들을 찾고 있어요. • 프론트엔드 플랫폼이 다루는 기술은 다양하고 계속 변화하고 있어요. 그래서 지식보다는, 기술을 빠르게 배우고 적용하는 능력을 가지신 분을 찾고 있어요. • 기술적인 시도를 하는 데에서 끝내는 것이 아닌, 실제 개발환경의 변화까지를 완수하신 경험이 있으면 좋아요. |
◼︎ 네이버파이낸셜 - 프론트엔드 개발자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우대사항 |
• 네이버페이의 결제, 송금, 금융 제휴, 오프라인 및 글로벌 결제 플랫폼의 프론트엔드 개발 | • 프론트엔드 개발 경력이 2년 이상이신 분 • Javascript (최소 ES5 이상) 기본 지식 보유하신 분 • CS 기본 지식 보유하신 분 • HTML/CSS 를 이해하여 업무에서 활용이 가능하신 분 • React.js 실무 경험 1년 이상이신 분 |
• MobX 등 State 관리 라이브러리 개발 및 운영 경험이 있으신 분 • 프론트엔드 성능 최적화 경험 및 모바일/PC 환경의 크로스브라우징 경험이 있으신 분 • Node.js 개발 및 운영 경험이 있으신 분 |
◼︎ 쿠팡 - 로켓배송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Fast+Track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우대사항 |
• 쿠팡의 Fulfillment Center 관련 시스템의 Frontend 개발 및 운영 • Coupang web platform (PC/Mobile web) 의 코드 및 디자인 개선 |
• HTML, CSS, Javascript(ES6) 등의 개발 언어에 대한 전문성 (7년 이상) • Web Frontend 개발, 운영 경험자로 실무 5년차 이상 • React, Vue, Angular 중 1개 이상의 전문적인 개발 경험 • 가용성, 확장성 및 재사용성 높은 UI Component 제작 경험 • 웹표준 및 브라우저 호환성 경험한 분 |
• E-Commerce 도메인 및 비즈니스 프로젝트 경험 • Web Service, API, Cloud 환경 경험이 있는 분 •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단순화하여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경험 • Agile 경험이 있으신 분 |
주요 업무 :
- React navtive Framework 개발
- 당사 서비스 Frontend 개발 및 운영
- 코드 및 디자인 개선 (로딩 시간 감축, 오류 감지 등)
공통 역량 :
- HTML, CSS, Javascript(ES5~ES6) 등의 개발 언어 지식 보유
- React.js 실무 경험
- 프론트엔드 성능 최적화 경험 혹은 역량
- 다양한 기술 스택 도입에 적극적인 사람
[PM/PO]
◼︎ 카카오스타일 - 유저플랫폼 PO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우대 사항 |
• 제품 비전과 제품 로드맵 수립 • 제품 개선을 통해 비즈니스 성과 달성 • 고객 행복을 위해 정성적인 고객 목소리를 우선순위에 반영 • 정량적인 비즈니스 성과 달성 • 제품이 사업 성장의 병목이 되지 않게끔 일정 및 우선순위 관리 • 다양한 협업 관계 부서들과 무엇을 개발하고 무엇을 개발하지 않는지 명확히 협의 • 카카오스타일의 핵심가치를 기준으로 소통하고 의사 결정 |
• 이커머스 PM, 기획, 운영 경험이 5년 이상 있으신 분 • 주도적으로 수치화된 목표를 세우고 달성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 애자일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성공/실패 경험이 있으신 분 • 데이터를 기반으로 팀을 설득하실 수 있는 분 (데이터 기반 문제 정의, 가설 검증 역량) • 모바일/웹 프로덕트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분 (웹의 경우 마케팅 툴 연동 경험이 있으신 분) • 다양한 포지션의 팀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있으신 분 |
• A/B테스팅을 통한 의사 결정 경험이 있으신 분 • 정성적인 사용자 조사 경험 (사용자 인터뷰 / UT 등) 이 있으신 분 • 문제와 함께 대안을 제안해주실 수 있는 분 • 개발에 관심이 많은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개발자 • 각자의 생각과 방향성을 듣는 열린 마음과 심사숙고해서 결정을 내리는 높은 기준을 가지신 분 |
◼︎ 배달의 민족 검색 Product Manager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우대사항 |
• 배민 통합검색, 푸드, 커머스 검색 서비스의 프론트/백엔드 기획 및 운영을 해요. • 검색 랭킹 개선, 추천 서비스 프로젝트를 기획 및 운영해요. • 배민의 NEXT 검색을 위해 서비스를 리서치하고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검색을 고민해요. • 팀 내부, 유관부서 협의 및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한 역할 중 하나예요. •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더 나은 결과를 위해 검색 품질 측정과 개선에도 힘쓰고 있어요. |
• 7년 이상의 서비스 기획 경험이 있는 분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론트/백엔드 기획 경험이 있는 분 • 프로덕트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고객 중심 사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에 익숙한 분 •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논리적인 대화, 체계적인 문서화가 가능한 분 • 고객 경험을 향상시킨 경험 또는 비즈니스 문제 해결 경험이 있는 분 |
• 검색 기획에 대한 경험이 있는 분 • 검색 시스템과 DB 구조에 대한 이해가 있는 분 • 검색 품질 개선을 위한 데이터 추출/인사이트 분석 능력이 있는 분 • 우아한형제들의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분 • 검색 결과가 빨리 나오길 원하는 배고픈 사용자의 마음에 공감하는 분 |
PM과 PO는 현재 국내 대부분의 회사가 개념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기에 회사에 따라 담당 직무가 다른 편이라고 한다. PO가 PM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PM이 PO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PM이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케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개발자와 더불어 가장 긴밀하게 협업하게 될 직군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추가로 PM/PO가 어떻게 구분되는 지 추가적인 리서치를 진행했다.
국매 PO 직무 특징
- 하나의 프로덕트를 A부터 Z까지 책임지는 mini-CEO이자 문제 해결사
- 주도적으로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로드맵을 설계, 지표 관리 및 분석
- PM, 서비스 기획자보다 더 많은 역할과 책임이 부여될 수 있음
국내 PM 직무 특징
- 상대적으로 PO보다 좁은 범위의 프로덕트 개발 조직, 혹은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
- 주로 운영 중인 서비스의 개선/고도화 업무를 담당, 내외부 요구사항 분석, 백로그 관리, 지표 관리 및 분석
- 서비스 기획자와 같이 디테일한 화면 설계, 스토리보드 작성 업무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음
국내 서비스 기획자 직무 특징
- 주로 내부 요구사항(마케팅 등 유관부서)에 따라 웹/앱 서비스의 유지/보수 업무를 담당
- 기존 또는 신규 서비스의 정책/기능 정의, IA, User-Flow, 화면 설계, 스토리보드 문서를 작성
- 일반적으로 PM, PO처럼 전반적인 제품 전략 업무를 담당하지는 않음(e.g. A/B 테스트, 지표 관리 및 분석 등)
Ⅱ. 각 직무 비교 분석
■ UIUX 디자인 관련 직군
프로덕트 디자이너 | GUI 디자이너 | UX 리서처 | 웹디자이너 | |
주요 업무 요약 | • 사용자 문제 정의 및 분석 • 사용자 리서치 진행 • 문제 해결 방안을 비주얼적으로 제시 • User Flow 설계 등 |
• 디자인 시스템 제작 • UI 컴포넌트 디자인 • 일관성을 유지하는 브랜딩 디자인 |
• 사용자 문제 발굴 • 리서치 설계, 실행 리서치를 통해 인사이트 도출 |
• 웹과 관련된 전반적인 디자인 업무 수행 • 상세페이지, 배너, 콘텐츠 등 디자인 |
특징 및 차별점 | 기획력과 분석력, 그리고 비주얼 역량을 동시에 추구함 | 시각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 | 최근 생기는 추세. 디자인적 역량보다는 리서치 수행능력, 분석력, 통계적 지식 등을 필요로 함 |
도메인마다 역할이 조금씩 상이한 편. 시각 디자이너로서의 비주얼 역량을 가장 많이 요구함 |
■ 비디자인 직군
프론트엔드 개발자 | 백엔드 개발자 | PM/PO | |
주요 업무 요약 | 화면 및 기능 구현 사용자 퍼포먼스 개선 |
서버단 기능 구현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구현 |
마켓 및 유저 리서치를 통해 비즈니스 목표 수립 및 달성 서비스 요구사항, PRD등을 작성하며 유관부서와 긴밀하게 협업 일정 조율 및 우선순위 배정 등 |
특징 및 차별점 | 개발 기술 및 언어, framework등이 굉장히 빠르게 발전하므로 꾸준한 공부가 필요함 | 프로덕트의 뼈대가 되는 시스템 구현. | 비즈니스 성과 달성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결된 업무. 유연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soft skill이 중요함 |
Ⅲ. 나의 생각 및 느낀점
■ [프로덕트 디자이너] "고객의 문제를 발견하고 데이터에 근거해 '시각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
이전에는 GUI/UI 디자이너 vs UX 디자이너 등으로 나뉘어서 불렸지만 요즘 규모가 있는 회사에서는 UX리서처, 브랜드 UI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인터랙션 디자이너 등으로 나뉘는 추세인 것 같다.
그래도 여전히 중소규모의 회사에서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UIUX디자이너로 통칭해서 부르기도 하고 각 회사에서 필요한 역할에 따라 role을 배정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프로덕트 디자이너(UIUX 디자이너)는 개발팀 내에서 문제를 가장 명확하게 정의하고, 가장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해야 하는 직업이라는 생각이 든다. UX리서처, PM/PO등이 정의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가장 '실제 제품에 가까운 수준'으로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다. 개발자와 가장 많이 소통하게 되는 직업이라는 생각도 든다.
이런 기획적인 역량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시각적 완성도, 심미성 등에 관해서도 중점적으로 관여해야하기 때문에 배울 것이 많은 직군이다.
■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디자인된 화면과 프로토타입을 실제 개발로 구현"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가장 많이 소통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직군이지 않나 싶다. 몇년 전 회사에서 figma도 없던 시절 디자인 가이드를 ppt로 한땀한땀 만들어서 개발자에게 보냈던 기억이 난다. 내가 지정한 폰트, 컴포넌트 간격 등이 제대로 지켜져있지 않아 화가나기도 하고, 기술적인 문제로 디자인이 구현되지 않을때 갈등을 겪게 된다.
요즘에는 디자인 시스템을 사용해서 그런지, 화면 개발 그 자체보다도 성능 개선 등 백엔드에서 하던 업무까지 일부 같이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 [PM/PO]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하는 서비스 기획 담당자"
요즘에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혹은 프론트 개발 경력을 가진 사람들이 PM/PO로 많이 넘어가기도 하는 것 같다. 프로덕트 디자이너처럼 구체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지는 않지만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IA, 와이어프레임, 요구사항정의서, PRD작성 등을 작성하며, 일정을 조율하는 등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기획을 담당하는 직군이라고 생각된다. 다른 어떤 직군보다도 논리력과 협업능력, 소통능력 등의 soft skill이 중요시되는 직군이라고 생각한다.